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에어프라이어 제대로 쓰는 법|예열, 온도, 시간 가이드

by homelily 2025. 7. 27.

에어프라이어는 바쁜 일상 속에서도
간편하게 요리를 할 수 있는 필수 가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
하지만 제대로 된 사용법을 모른 채
무작정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
겉은 타고 속은 안 익는 음식,
기름이 튀어 청소가 불편한 조리 등
에어프라이어 제대로 쓰는 법을 모르면
불편함만 늘어날 수 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에어프라이어의 예열, 온도 설정, 조리 시간까지
실제 조리 효율을 높이는 팁들을 정리해드립니다.


에어프라이어, 왜 예열이 필요할까?

많은 사람들이 에어프라이어는
‘예열이 필요 없는 조리기기’라고 생각합니다.
하지만 이는 반은 맞고, 반은 틀립니다.

예열을 추천하는 경우

  • 고기류, 생선류 조리 시
    → 겉면을 빠르게 익혀 육즙을 가두기 위해
  • 튀김류(냉동식품 포함)
    → 바삭함을 극대화하려면 고온 예열이 효과적
  • 조리 시간 정확도를 높이고 싶을 때

예열은 180200도에서 35분 정도가 일반적이며,
기기마다 예열 버튼이 따로 없으면
빈 상태에서 온도를 맞춘 후 짧게 가열하면 됩니다.


음식별 추천 온도와 조리 시간

에어프라이어 사용에서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
바로 온도 설정과 조리 시간입니다.
조리 대상별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:

음식 종류 온도(℃) 시간(분) 참고사항
냉동 감자튀김 180 15~20 중간에 한 번 뒤집기
냉동 만두 180 10~12 물 한 스푼으로 촉촉하게
삼겹살 200 15~20 기름받이 필수
생선구이 180 12~15 종이호일 사용 추천
식빵 피자 160 5~7 치즈가 타지 않도록 주의
닭봉/닭다리 200 20~25 뼈 있는 부위는 더 오래 조리 필요

온도와 시간은 재료 상태, 기기 성능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.
반드시 중간 점검을 통해 조리 상태를 확인하세요.


바삭함을 살리는 3가지 팁

  1. 기름은 약간만, 뿌리는 방식 추천
    식용유나 올리브유를 너무 많이 넣으면 바삭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
    스프레이 형태로 살짝만 뿌리는 것이 핵심입니다.
  2. 조리 중간 뒤집기
    겉면만 익고 속이 안 익는 현상을 방지하려면
    5~10분 단위로 한 번씩 뒤집는 것이 좋습니다.
  3. 기름 받이와 공기 순환 고려
    음식이 눅눅하지 않도록 에어홀 구조를 막지 말고,
    가능한 겹치지 않게 배열하세요.

조리 후 청소와 관리법

에어프라이어는 조리보다
청소가 더 귀찮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
하지만 몇 가지 습관만 들이면 청소도 간단합니다.

  • 조리 전 종이호일/실리콘 매트 깔기
    기름과 조각들이 바스켓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합니다.
  • 조리 직후 식기세척
    기름이 굳기 전에 따뜻한 물로 씻으면 더 쉽게 세척됩니다.
  • 분리형 부품은 주기적 탈착 세척
    특히 냄새가 배기 쉬운 그릴, 바스켓은 중성세제+식초로 소독하면 좋습니다.

에어프라이어 자주 묻는 질문(FAQ)

Q. 종이호일은 꼭 써야 하나요?

→ 필수는 아니지만, 조리 후 청소 편의와 기름 흡수에 효과적입니다.

Q. 에어프라이어 전용 종이호일과 일반 유산지 차이?

→ 전용 종이호일은 고온에서도 말리거나 타지 않으며,
바스켓 크기에 맞춰 타공(구멍)이 되어 있어 공기 순환이 잘 됩니다.

Q. 냉동 식품은 해동 후 조리해야 하나요?

→ 대부분 해동 없이 바로 조리 가능하지만,
두꺼운 식재료는 속까지 익도록 온도 조절과 시간 체크가 필요합니다.


결론: 에어프라이어는 ‘설정’이 요리의 반이다

에어프라이어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
예열, 온도, 시간 설정만 잘 맞추면
오븐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기기입니다.

  • 예열은 꼭 필요한 조리엔 활용
  • 음식별 적정 온도와 시간은 메모해두기
  • 중간 점검과 적절한 기름 사용
  • 조리 후 청소 습관화

이 4가지만 지키면
당신의 에어프라이어는 매일 활용 가능한
진짜 ‘요리 도우미’가 되어줄 것입니다.